미국의 반도체 통제 이후 중국이 처음으로 반격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론의 메모리 반도체 제품에 대해 보안 문제를 지적하며 구매를 중단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러자 중국이 반도체 부족분을 한국기업들한테서 조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, 미국 의회에서는 한국 기업이 마이크론의 공백을 채워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 하원의 마이크 갤러거 미중 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이 한국 기업이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행동해야 한다고 말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해 기준, 마이크론의 대중국 매출은 4조 3천억 원. <br /> <br />삼성전자 54조 7천억 원, SK하이닉스 12조 2천억 원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요즘 같은 반도체 불황기에 마이크론 공백에 따른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전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마이크론의 물량을 누군가 대체하더라도 그게 마이크론의 물량 대체라고 할 만큼 그렇게 큰 양이 아닐 거라는 거죠.] <br /> <br />우리 기업의 중국 내 영업 활동도 미국 정부의 공식 요구가 있기 전까지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앞으로 계속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려면 기술 격차를 더욱 벌리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김용석 /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: 시장주의에 반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우리가 받아들이기는 어렵다고 보고요. 근데 이제 실질적으로 우리가 정말 고민해야 할 것은 좀 더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그런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.] <br /> <br />중국에 공장에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서는 앞으로 계속 중국 리스크가 부각 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은 퀄컴이나 인텔이 아닌, 대중국 사업 비중이 11%에 불과한 마이크론을 제재 대상으로 택하고, 미국도 중국과 각료급 대화를 이어가며 양쪽 모두 선은 넘지 않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도 한미 동맹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어떻게 국익을 도모할 것인지, 전략적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5290728592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